문자열과 리스트에는 순서가 있다.
"HELLO"와 "HELOL"는 다른 문자열이고
[1,2,3,4,5] 와 [1,3,2,4,5]도 다른 리스트 이다.
순서가 다르기 때문!
각각 위치를 0부터 순서대로 매길 수 있는데
이것을 인덱스 라고 한다.
"HELLO"의 인덱스는
H는 0, E는 1, L은 2, L은 3, O는 4
[1,2,3,4,5] 도 동일하게
1은 0, 2는 1, 3은 2, 4는 3, 5는 4
이러한 인덱스를 활용해서 리스트나 문자열의
특정 위치의 원소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인덱싱' 이라고 한다.
A = "HELLO"
변수 A에 HELLO를 저장 후
print(A[3]) 을 하게 되면
3번째 값인 L 이 출력된다.
일부분을 잘라서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슬라이싱' 이라고 한다.
상단 예로 들은 변수 A 에서
ELL 을 가져오고 싶다면
print(A[1:4]) 를 출려하면
각 1, 2, 3 인덱스가 출력된다.
참고로, 슬라이싱의 [1:4] 는
시작 인덱스 : 종료인덱스 -1 로 생각하면 된다.
즉, 1, 2, 3 번째가 출력되는 것이다.
숫자 이외에 예를 들어보면,
이번주 뉴욕의 날씨에 대해 일기예보가 아래와 같이 나왔다.
newyork = ["월_맑음", "화_비", "수_구름", "목_맑음", "금_흐림", "토_맑음", "일_구름"]
비오는 날씨만 추출하여 newyork_weather 변수에 넣어 보면,
newyork_weather = newyork[1]
와 같다.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의 날씨를 추출하고 싶다면,
newyork_weather2= newyork[1:4]
와 같다.
각 print 문을 사용하여 출력하면
print("뉴욕의 비오는 날씨는", newyork_weather)
print("뉴욕의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날씨는" , newyork_weather2)
로 확인 가능하다.
'코딩 초보 도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연산자의 종류 (0) | 2024.04.15 |
---|---|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input() , 형 변환 (0) | 2024.04.14 |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변수 & 사칙연산 (0) | 2024.04.14 |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기본 자료형 (0) | 2024.04.12 |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print문 사용하여 삼행시 짓기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