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반응형 AI5 인공지능(AI), 코딩 그리고 파이썬(PYTHON) 인공지능(AI), 코딩 그리고 파이썬(PYTHON) 요즘 저의 최대 관심사 입니다. 제조업 해외영업팀에서 약 10년간의 일을 하면서 코딩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는 코딩=나와 상관없는것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 시기 이후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공지능(AI)분야가 사회적, 국제적으로 많은 이슈화가 되는 것을 느꼈죠.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에 코딩과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를 안다는 것은 필수적인 부분이고 빠른 사회적 변화에 알맞는 직업을 갖고싶었고 미래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하고 있어 파이썬(PYTHON)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파이썬(PYTHON)이란 무엇일까요? 위키피디아의 설명을 따르면, 파이썬(영어: Python)은 1991년 네덜란드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귀.. 2024. 4. 12. MS·오픈AI의 협업-휴머노이드 로봇에 공동투자 안녕하세요! Microsoft와 OpenAI가 협업하여 휴머노이드 로봇기술에 공동 투자를 했다는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로봇 기술에 투자하는 Microsoft과 OpenAI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Microsoft와 OpenAI가 인간이 할 수 없는 위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에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대 50억 달러의 투자로 Figure, 인간형 로봇 기업에 대한 토론이 진행 중이라고 전해졌습니다. 이로써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피규어AI기업의 가치는 19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이 협업은 아직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이미 로봇 및 대형 언어 모델에 대한 연구로 알려진 OpenAI에게는 논리적인 투자로 보입니다.📌대형 언어 모델과 로봇의 융합.. 2024. 2. 2. AI 얼굴의 미묘한 착각: 가짜 정보의 함정에 대한 주의 최근에 AI가 그린 얼굴 이미지 보셨나요? 정말로 실제 얼굴처럼 보이는 일이 늘면서, 이로 인한 가짜 정보 전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뉴욕타임스의 한 연구에서는 AI로 만든 백인 얼굴이 실제 얼굴보다 더 현실적으로 인식되는'극사실주의' 현상이 확인되었어요.실험에 참가한 사람들 중 89~93%가 AI로 그린 얼굴을 진짜로 착각했다고 해요. 이는 주로 AI가 학습한 얼굴이 백인이기 때문에 나타난 특징인데, AI의 학습량이 적은 다양한 인종의 경우 이러한 착각이 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이런 발전된 기술 덕분에 이미지의 현실성이 높아지면서, 실제 사람의 특징과 거의 구별이 안 될 정도로 가짜 정보가 만들어지고 있어요. 이로 인해 가짜 정보에 속기가 더 쉬워지고 있어서, 인터넷 사용자들이 더욱.. 2024. 1. 22.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2024.01.09. ~ 01.12. 일정으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하였습니다.문득, CES는 어떤 전시회일까 궁금해지더군요, '세계 가전 전시회'라고 하는 CES는 매년 1월에 열리는 전시회로, 전자제품 및 기술 혁신을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오늘은 1967년 이래로 다양한 변천사를 거쳐온 C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CES: 혁신과 기술의 무대1. 창설 (1967년):1967년 6월, 뉴욕시에서 최초로 개최된 CES는 "Consumer Electronics Show and Convention"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소비자 기술 협회(CTA, 이전 명칭: CEA)가 주최한 이 행사는 소비자 전자제품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들이최신 제품을 선.. 2024. 1. 14. 호모 프롬프트(Homo Prompt) 2024년도 트렌드 키워드 중 하나인 호모 프롬프트,무엇인지 궁금증이 생겨 찾아보았습니다. 호모는 ‘인간’을, 프롬프트는 컴퓨터에서 명령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는 신호를 가리키는 단말기의 용어입니다. ‘호모 프롬프트(Homo Prompt)’는 이 두 용어를 결합한 것이며, 새로운 기술인 AI와 소통하며 기술을 통해 창의성을 발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즉, AI를 도구로서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에 질문 할 때 A와 B 라는 사람이 각각 '어떻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AI가 내놓는 답이 달라집니다. 얼마나 구체적이고 좋은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AI가 생성하는 결과물이 다르기 때문에 생성형 AI에 제시하는 '질문 능력'과 .. 2024. 1. 10. 이전 1 다음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