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반응형 코딩초보5 파이썬(PYTHON) 초보 - 복습 / 조건문 조건문은 어떤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명령이 달라지는 구문이다. 조건이 True 일때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데 if 문에 들어갈 명령들은 들여쓰기로 구분을 한다.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else 로 표기를 할 수 있다. 추가로, 첫 번째 조건이 True 이면 if 문을 작성하고 첫 번째 조건이 False 이면서 두 번째 조건이 True 이면 elif 문을 실행한다. 모든 조건이 False 라면 마지막에 else문을 작성하면서 if - elif - elif - else 문을 실행할 수 있다. 2024. 4. 15.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연산자의 종류 파이썬에서 숫자나 문자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 같다 != 다르다 > 왼쪽이 더 크다 = 왼쪽이 같거나 크다 2024. 4. 15.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변수 & 사칙연산 변수(variable) : 자료를 보관하는 저장 장소 이다. 즉, 변수이름은 자료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name = "홍길동" grade = ["A+", "A+", A0"] num = 100 처럼 문자열, 리스트,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변수는 숫자, 알파벳, 한글, 언더바(_)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외사항이 있다. 1) 숫자로 시작하면 x 2)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는 사용 x (for, while, if 등) 3) 공백문자(""), 연산자(+, - , * 등) 사용 x 자료형은 연산도 가능하다. 사칙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표기는 덧셈 + , 뺼셈 -, 곱셈 * , 나눗셈 / 으로 표기한다. print(4+4) print(4-4) print(4*4) print(4/4.. 2024. 4. 14.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기본 자료형 파이썬에는 기본자료형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다. 1) 숫자형 (Number)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 정수나 실수 등을 다룰 수 있다. 숫자끼리의 연산이 가능하다. 숫자형 종류 ex) 3 은 정수(integer) 3.14는 실수(float) 3+14j 는 복소수 2) 문자열 (String) 문자나 문자들을 늘어놓은 것이며,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ʻʼ)로 구분 그러나 큰 따옴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ex) "23" '안녕하세요' 3) 리스트 (List) 여러 자료를 보관하는 자료형 다른 종류의 자료를 함께 담을 수 있으며, 자료 안에 순서가 있다. ex) [ ] ["1", "2"] ["a", "1"] [["a", "b"], "d", 100] 4) 주석 (Comment) 주석은.. 2024. 4. 12.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print문 사용하여 삼행시 짓기 파이썬(PYTHON)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정보다 자료를 컴퓨터가 '출력'하게 하기 위해서는'print' 를 사용한다. print("안녕하세요")를 실행한다면 결과는 안녕하세요 라고 나온다. print(55, "Hello") 를 실행한다면 결과는 55 Hello 라고 나온다. print 문을 사용하여 3행시를 짓는다면 ? * 키워드 : 비행기 1) print문의 행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방법 2) 여러 문자열을 """ """ 쌍따옴표로 둘러싸서 한 번에 출력하는 방법 3) 이스케이프 코드 \n 을 통해서 개행 * 실제 입력시 '원'모양으로 입력된다. 4) f-string과 이스케이프 코드 \n을 사용하여 각 문자열을 개별적으로 출력하는 방법 5) 문자열을 리스트에 담고 join() 함수를 사용하여 줄바꿈 문.. 2024. 4. 12. 이전 1 다음 300x25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