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슬라이싱 & 인덱싱
문자열과 리스트에는 순서가 있다. "HELLO"와 "HELOL"는 다른 문자열이고 [1,2,3,4,5] 와 [1,3,2,4,5]도 다른 리스트 이다. 순서가 다르기 때문! 각각 위치를 0부터 순서대로 매길 수 있는데 이것을 인덱스 라고 한다. "HELLO"의 인덱스는 H는 0, E는 1, L은 2, L은 3, O는 4 [1,2,3,4,5] 도 동일하게 1은 0, 2는 1, 3은 2, 4는 3, 5는 4 이러한 인덱스를 활용해서 리스트나 문자열의 특정 위치의 원소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인덱싱' 이라고 한다. A = "HELLO" 변수 A에 HELLO를 저장 후 print(A[3]) 을 하게 되면 3번째 값인 L 이 출력된다. 일부분을 잘라서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슬라이싱' 이라고 한다. 상단 예로..
2024. 4. 14.
파이썬(PYTHON) 기초 - 복습 / 변수 & 사칙연산
변수(variable) : 자료를 보관하는 저장 장소 이다. 즉, 변수이름은 자료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name = "홍길동" grade = ["A+", "A+", A0"] num = 100 처럼 문자열, 리스트,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변수는 숫자, 알파벳, 한글, 언더바(_)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외사항이 있다. 1) 숫자로 시작하면 x 2) 파이썬 문법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는 사용 x (for, while, if 등) 3) 공백문자(""), 연산자(+, - , * 등) 사용 x 자료형은 연산도 가능하다. 사칙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표기는 덧셈 + , 뺼셈 -, 곱셈 * , 나눗셈 / 으로 표기한다. print(4+4) print(4-4) print(4*4) print(4/4..
2024. 4. 14.